지난해 덴마크에서 역대 가장 많은 빈병과 캔이 수거돼 재활용됐다.
2002년부터 덴마크에서 공병 보증금 제도를 독점 운영하는 단스크 레투르시스템(Dansk Retursystem)은 5월9일 발표한 연례보고서에서 2018년 덴마크인이 반납한 빈병과 빈캔이 전년도보다 11% 증가했다고 밝혔다. 14억 개 빈병과 캔을 모아 재활용한 덕분에 이산화탄소(CO2) 14만3950톤을 덜 배출했다.
흔히 보증금(pant)라고 불리는 덴마크 공병 보증금 제도(pantsystemet)란 병에 담긴 음료에 용기 보증금을 덧붙여 팔고, 추후에 병을 반납하면 돌려줘 재활용을 촉진하는 제도다. 소비자가 플라스틱 병이나 알미늄 캔에 담긴 음료를 살 때 용기 보증금 1~3크로네(170~510원)를 추가로 지불하도록 한 뒤, 빈 용기를 무인 반납기에 반납하면 보증금을 고스란히 돌려준다. 공병 수거 기계는 덴마크 거의 모든 슈퍼마켓에 있다. 기계가 없을 때는 계산대에서 반납할 수 있다. 소비자가 지정된 장소에 빈 병을 반납할 경제적 유인을 제공한 덕분에 재활용 용기 수거율을 90%까지 높이는 효과를 거뒀다. 몇 년 사이 28개국 관계자가 공병 보증금 제도가 성공한 비결을 배우러 덴마크를 찾았다.
라르스 페테르센(Lars Petersen) 단스크 레투르시스템 최고경영자(CEO)는 제조업자와 소비자, 유통업자 모두가 책임감을 지니고 참여해 준 덕분에 역대 최대 규모로 공병을 모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덴마크에서는 공병 보증금 제도가 잘 작동합니다. 덴마크인 모두가 지지한 덕분이지요. 공병 보증금이 붙은 음료수 소비가 증가하는 와중에도 공병 90% 이상이 수거되는 사실은 인상 깊습니다. 이해관계자가 우리에게 보여준 신뢰를 가볍게 여기지 않고, 효율적이면서도 환경을 보호하는데 더 많은 이득을 낳도록 공병 보증금 제도를 개선하는데 정진하겠습니다.”
공병 보증금 제도에 주스 병 등 더 많은 일회용기를 포함하기 위해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은 2018년부터 수도권 호이에토스트루프시(Høje Taastrup)에 최대 규모 공장을 짓는 중이다. 2020년께 이 공장이 가동되면 재활용 공정에 효율이 올라갈 것이라고 단스크 레투르시스템은 기대했다.
숫자로 본 덴마크 공병 보증금 제도
- 매일 3800만 개 병과 캔이 보증금이 붙은 채 소비자에게 팔린다.
- 덴마크 전역에 공병을 수거하고 보증금을 돌려주는 기계는 3119대 있다.
- 1만5672곳 상점과 식당, 편의점, 카페가 정기적으로 공병을 수거한다.
- 덴마크 공병 보증금 제도에 등록된 용기는 2만6300여 종이다.
- 2018년 한 해에만 5047가지 새 용기가 공병 보증금 제도에 등록됐다.
- 플라스틱 병 1개를 재활용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81%를 줄일 수 있다.
- 유리 병 1개를 재활용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58%를 줄일 수 있다.
- 알루미늄 캔 1개를 재활용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 95%를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