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펜하겐 도시재생] 사람이 먼저인 도시를 그리다, 겔

덴마크 코펜하겐이 살기 좋은 도시로 거듭나는데 크게 기여한 사람이 있다. 덴마크 건축가 얀 겔(Jan Gehl)이다.
모더니즘이 팽배한 전후 건축계에 ‘사람이 먼저’라며 파란을 일으킨 그의 사상은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상식처럼 당연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당대 지배적인 모더니즘 사상에 맞부딪힌 그의 생각이 상식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는 숱한 고난이 있었다. 그럼에도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든다”(making cities for people)는 뜻을 굽히지 않고 반세기 넘게 실천해, 이제는 도시계획 컨설팅 그룹으로 자리매김한 (Gehl)의 발자취를 되짚어 보자.
 

인문주의 건축 사조를 창시한 덴마크 건축가 얀 겔(Jan Gehl)이 자기 사상의 시발점인 스트뢰에 앞에 섰다(Gehl 제공)
인문주의 건축 사조를 창시한 덴마크 건축가 얀 겔(Jan Gehl)이 자기 사상의 시발점인 스트뢰에 앞에 섰다(Gehl 제공)

 

건축가와 심리학자의 사랑, 살기 좋은 도시를 낳다

컨설팅 그룹 겔을 얘기하려면, 먼저 건축가 얀 겔의 생애를 따라가야 한다. 건축가로서 얀 겔의 커리어는 평범하게 시작했다. 1960년 덴마크 왕립예술대학(KADK)에서 건축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얀 겔은 곧바로 모교 교단에 올랐다. 교수 생활 중 심리학도인 잉그리드 문트(Ingrid Mundt)를 만나 결혼했다. 두 사람의 결합은 건축과 심리학 두 학문이 경계를 넘어 뒤섞이는 계기가 됐다.
얀 겔 역시 여느 건축가처럼 “사람보다 벽돌”에만 관심을 쏟았다. 장식적인 요소를 모조리 걷어내고 기능에만 충실한 건물을 짓자는 기능주의(functionalism) 원리를 내세운 모더니즘이 세계 건축 업계를 지배하던 시기다. 심리학자인 잉그리드는 이 점이 불만스러웠다. 그가 남편인 얀 겔에게 물었다.

“왜 건축가는 사람에 관심 두지 않죠?”

얀 겔은 깨달았다. 건축가가 시베리안 호랑이가 살기 좋은 환경은 잘 알면서,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에는 젬병이라는 사실을. 얀 겔은 인간이 어떤 환경에서 살기 좋은지를 연구하러 학교에 허락을 얻어 이탈리아로 연구 여행을 떠났다. 예나 지금이나 이탈리아는 아름답고 살기 좋은 도시로 명성이 자자하기 때문이다. 1965년이었다.

 

이탈리아는 왜 살기 좋은가

얀-잉그리드 겔 부부는 6개월 간 이탈리아에서 모범 사례를 수집하고 관찰했다. 사람이 도시 환경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확인하는 조사 방법론은 원초적이었다. 도로에 오가는 사람과 차량을 일일이 셌다. 보행자가 어디서 어디까지 걷다 어느 지점에서 멈춰 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도 기록했다. 그렇게 수집한 방대한 자료 속에서 행동 유형을 찾아냈다. 이때 겔 부부가 개발한 조사 방법론은 지금까지도 활용된다.

이탈리아 연구 노트(Gehl 제공)
이탈리아 연구 노트(Gehl 제공)

아름다운 도시 이탈리아에서 모범 사례를 조사하고 코펜하겐으로 돌아온 겔 부부는 곧바로 코펜하겐을 되살릴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앞서 인트로에서 설명했듯 당시 코펜하겐은 살 만한 곳이 아니었다. 특히 주거 환경이 열악한 원도심은 공동화됐다. 마침 안성맞춤인 연구 대상도 있었다. 1962년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보행자 전용 도로로 거듭난 스트뢰에(Strøget)가 어떤 변화를 낳았는지 양적 연구를 진행함직 했다.
 

코펜하겐 프로젝트, 최초의 도시 환경 이용자 행태 연구

얀 겔은 1968년 덴마크 왕립예술대학 건축학과 교수진 및 학생과 코펜하겐에서 도시 이용자 행태 조사를 실시했다. 여름부터 4계절의 아침과 밤, 주말과 주중을 모두 포괄한 장기 연구였다. 이렇게 도심에서 이용자 행태를 대규모로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은 처음이었다. 이때 손잡은 왕립예술대학 건축학과와 코펜하겐시는 그 뒤로도 긴밀히 협업했다. 얀 겔의 연구를 계기로 코펜하겐 도시 개발 계획에 학계가 적극 협력하는 전통이 생겼다.
얀 겔은 1971년 이탈리아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연구 결과를 정리한 책을 내놓았다. <Life Between Buildings : Using Public Space>다. 이 책에서 얀 겔은 모더니즘 풍조에 따른 교외 지구가 구조물을 세우는데만 매몰돼 건물 사이에 벌어지는 삶은 백안시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건물 사이인 도로를 주민이 일상을 영위하는 공공 부지로 보고 도시 계획을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응은 싸늘했다. 보수적인 건축 업계에서는 얀 겔을 이단아 취급했다. 16년이 지나서야 영어 번역본이 출판됐다.

10개국어로 출간돼 인간 중심 도시 계획의 교과서로 쓰이는 <Life Between Buildings : Using Public Space> (Gehl 제공)
10개국어로 출간돼 인간 중심 도시 계획의 교과서로 쓰이는 (Gehl 제공)

하지만 얀 겔은 멈추지 않았다. 1973년부터 1997년까지 그는 교단에 올라 “삶을 위한 건축”을 역설하며, 도시 이용자 행태 조사 방법론을 발전시켰다. 인간 행위를 결정짓는 원리를 건축의 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오슬로 프로젝트, 얀 겔 이론을 실제로 구현하다

학계에서는 외면받았지만 코펜하겐시는 얀 겔의 이론을 적극 수용했다. 코펜하겐은 도심 환경을 보행자와 자전거 친화적으로 개선하며 ‘부랑자나 사는 도시’라는 오명을 지워갔다. 이를 지켜보던 이웃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Oslo)가 1987년 얀 겔에게 조사를 맡겼다. 처음으로 덴마크 밖에서 연구할 기회를 얻은 얀 겔은 그동안 쌓은 이론을 실제로 적용했다.
덴마크 왕립예술대학 출신으로 얀 겔의 제자인 건축가 헬레 쇠홀트(Helle Søholt)는 40년 동안 은사가 쌓은 훌륭한 지식으로 컨설팅만할 게 아니라 실제로 도시 환경 개선 사업에 뛰어들어 사람을 위한 도시를 구현하자고 제안했다. 뜻 맞은 두 사람은 2000년 함께 겔 아키텍트(Gehl Architects)를 세웠다. 그동안 이용자 행태 조사와 도시 계획 컨설팅을 진행하던 팀은 겔 연구소(Gehl Institute)라는 조직으로 거듭나 출판, 워크숍 및 전문가 과정 개설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얀 겔의 이론을 실현하는데 뿌리 둔 두 조직은 유기적으로 협업해 오다 지금은 겔(Gehl)이라는 한 이름으로 일한다.
 

런던 프로젝트, 얀 겔 이론을 거대 도시에 접목하다

2003년 런던시 교통국과 도심 업무 환경 개선 비영리기구 센트럴 런던 파트너십(Central London Partnership)은 겔 아키텍트에게 런던 도심 환경을 연구해달라고 의뢰했다. 런던 같은 거대 도시(mega city) 환경을 조사한 적 없던 겔 아키텍트에게 이는 큰 도전이었다. 대규모 군집을 측정하고 조사하는 방법론을 개발해야 했다. 겔 아키텍트는 도시 전체를 샘플링하는 대신 전략적으로 연구 장소를 특정했다.
2004년 당시 런던 시장 켄 리빙스톤(Ken Livingstone)은 겔 아키텍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좋은 도시를 향해>(Towards a fine City for People)라는 보고서로 엮어 내놓고, 재임 선거 캠페인에 긴요하게 활용했다.
비록 런던 연구가 가시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는 못했지만, 런던의 도시 계획 관계자와 정치인이 런던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는데는 성공했다. 당시 런던 시장 건축 및 도시화 자문단장이었던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gers)가 말했다.

“이 연구 덕분에 우리 모두는 런던의 많은 장점과 특성 위에 더 좋은 장소의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런던을 더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됐죠.”

런던 연구는 얀 겔의 사상이 전 세계로 뻗어갈 계기가 됐다. 런던이라는 세계적 대도시에서 거둔 성과를 보고 곧 각국에서 컨설팅을 의뢰했다. 팀은 성장했다. 유럽을 넘어 미국 뉴욕과 샌프란시스코에서 14개국 출신 70여 명이 일한다.
런던에서 개발한 연구 방법은 뉴욕, 멕시코시티, 상파울로, 상하이 등 다른 거대 도시에도 활용됐다. 10여 년 전부터는 경제가 성장해 삶의 질을 좇는 중산층이 두터워진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겔을 많이 찾는다. 뉴욕 브로드웨이를 차가 가득한 도로에서 뉴요커가 사랑하는 산책로로 탈바꿈시킨 프로젝트가 유명하다.
겔의 국제적 성취는 고향인 덴마크에서도 이어졌다. 덴마크 정부는 2014년 ‘사람 제일’(Putting people first)이라는 전국 단위 건축 정책을 내놓았다. 건물을 구조물이 아니라 시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 환경으로 전제하고, 부문과 학계를 불문하고 협업한다는 것이 뼈대다.

2014년 덴마크 정부가 얀 겔 방법론을 바탕 삼아 내놓은 ‘사람 제일’ 건축 정책 (Gehl 제공)
2014년 덴마크 정부가 얀 겔 방법론을 바탕 삼아 내놓은 ‘사람 제일’ 건축 정책 (Gehl 제공)

 

도시를 시민 품으로

겔은 얀 겔 교수의 연구팀에서 국제 도시 컨설팅 그룹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든다”는 가치는 변치 않았다. 조감도와 대축척 지도를 보고 공간을 재단하던 모너니즘에 대항해, 그 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간의 눈높이와 감각을 척도 삼아 공간을 구성해야 살기 좋은 도시(liveable cities)를 만들 수 있다는 얀 겔 교수의 주장은 컨설팅 그룹 겔이 일하는 원리이기도 하다.
언뜻 시민운동가의 구호처럼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겔은 살기 좋은 도시 환경은 그 공간을 영위하는 사람뿐 아니라 부동산 사업자, 정책 당국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그리고 그 믿음을 성과로 증명해 내고 있다.


 

[연재] 덴마크 코펜하겐 도시 재생

  1. [인트로] 천년고도, 행복 도시로 거듭나다
  2. 바다 위에 콘테이너로 지은 학생 기숙사, 어반 리거
  3. 쓰레기 태우는 발전소를 관광 명소로, 아마게르 바케
  4. “이민자를 이웃으로” 주민이 직접 꾸린 다문화 공원, 수페르킬렌
  5. 사람이 먼저인 도시를 그리다, 겔
  6. [인터뷰] “살기 좋은 도시 만들려면 지속가능한 삶을 가장 쉬운 생활 양식으로 만들라” – 겔 파트너 디렉터 크리스티안 빌라센
  7. [아웃트로] 위기의 도시, 친환경 미래 도시로 거듭나다


이 콘텐츠는 도시 콘텐츠 스타트업 어반플레이가 후원하고 덴마크 전문 미디어 NAKED DENMARK가 제작해 양쪽 매체에 공동 게재합니다. 덴마크 도시 재생 연재는 어반플레이 미디어 아는동네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3 thoughts on “[코펜하겐 도시재생] 사람이 먼저인 도시를 그리다, 겔”

  1. Pingback: “살기 좋은 도시 만들려면 지속가능한 삶을 가장 쉬운 생활 양식으로 만들라” – NAKED DENMARK

  2. Pingback: 코펜하겐시, 유럽 최초 도로 단위 초미세먼지 지도 공개 | | NAKED DENMARK

  3. Pingback: [코펜하겐 도시재생] 위기의 도시, 친환경 미래 도시로 거듭나다 – NAKED DENMARK

Leave a Reply